문헌록 전자족보(대동보) > 문헌록
           
1. 문헌 목록 〉6. 6世 〉44. <부정공>백운재동재신성기(白雲齋東齋新成記)
1. 문헌 목록 〉6. 6世 〉46. 이로재기(履露齋記)
1. 문헌 목록 > 6. 6世 >  
45.<부정공>저존재기(著存齋記)절민공재실(節愍公齋室)
著存齋記 昇州治南山自曹溪而來爲峙爲谷東西橫驚而鷄犬相聞於烟樹之中者雙之里而巋然一閣扁以著存齋者乃玉川趙氏歲事于節愍先生之丙舍也甞有齋而去壬寅有回祿之災多少文籍蕩然無存刱建始末杞宋無徵雲裔之齋恨久矣至己亥羣宗協謀而一乃心力遂營五楹四架于羨門之下於是齊明具需聚族講睦之所不日其成后孫在玉昶烈訪天德山下徵記于敏植曰齋室之成毀雖曰無徵先墓安兆顚末口耳相傳者不可無記歷歷詳吿曰節愍府君遭 莊陵六臣慘禍而全家竄匿山海救死不暇尸髓之無人可收墳墓之無人守護勢所必至其後五代孫中樞府事公及配位金海許氏幽宅卜之而掘地則節愍公配位昌寧成氏之墓誌石發顯故停柩多日而宗會席設施廣招閤宗爛商熟議節愍公則招魂而合窆于成氏中樞公則與配位許氏合袍于階下云此實天神之黙佑於忠節之義魄也何其奇也嗚呼貞忠大節以六臣爲東方之首者尚論己定而公之高節匹美於成朴者載在公私文籍如我膚淺何敢妄贅於其間哉抑有一説可吿者夫三綱者支天之三柱也一日無是則天地缺矣人類滅矣人能守之則可謂踐形反之則不違羽毛可不懼哉目今天綱解紐亂舌爭鳴者是權術也功利也又從以皷動者妖語恠奇也而靡然從之如水就下所謂孝悌忠信禮義廉耻等歸於越人章甫痛歎何既甞聞爲常人子孫非難爲名人子孫尤難今諸宗既爲名祖之后則尤難之責或忘斯須惟念念常在乎先祖之忠義以朝聞夕可爲持身之符貧賤不能移威武不能屈則庶無愧於名人之后矣勉之哉 歲在壬寅五月上澣 傍裔 敏植 謹書 저존재기(著存齋記) 昇州 治南山이 조계(曹溪)산으로부터 와서 재가 되고 골이 되어 東西로 비께달이고 닭과 개소리가 烟樹中에 서로 들인 곳이 雙之里요 그 마을에 높이 솟아 우뚝한 집에 著存으로 현판한 자는 節愍先生 歲一祭를 모신 재각이다. 옛날에 있던 재실이 지난 壬寅(一九0二)년에 손실됨으로 多少 문적이 다 없어져 창건한 내력을 알 수 없어 후손의 한탄한 바 오래더니 己亥(一九五九)년에 여러 종족이 합의하고 心力을 기울여 묘소 밑에 四間 재각을 세우니 이제야 재계하고 푸주하며 겨레가 모여 강목(講睦)할 처소가 이루어졌다. 후손 在玉과 昶烈이 天德山 아래로 나를 찾아와서 記文을 청하며 재실의 存廢는 비록 증고할 수 없으나 묘소의 安兆始末을 듣고 본 대로 기록 아니 할 수 없다 하고 자세한 말을 하였는데 節愍府君이 世祖 때 六臣참화를 만나 온 가문이 산과 바다로 뿔뿔이 흩어져 죽음을 구할 겨를이 없고 시신도 거둘 사람이 없었으므로 묘직(墓直)이 없는 것은 필연의 사세인데 그 후에 五代孫中樞府事公과 配位 金海許氏墓地를 정하여 땅을 파니 절민공 배위 昌寧成氏의 묘지석이 발현됨으로 여러 날 정구(停柩)하고 宗會를 열어 상의하여 절민공은 초혼하여 배위와 합봉하고 中樞公을 배위 許氏와 계하에 합장하기로 결의했다 하였다. 이는 오로지 天神이 忠臣의 혼백을 보우한 것이니 진실로 특이한 일이로다. 아! 六臣의 정충대절을 東方의 머리로 삼는 것을 높은 의논으로 이미 정했고 공의 높은 절의가 成氏 朴氏와 일반이라는 것 또한 공사문적에 실려 있으니 나 같은 천식(淺識)으로 어찌 감히 그 사이에 보태겠는가. 다만 한말 고하고져 한 것은 三강은 하늘을 버틴 기둥이라 하루만 없어도 天地는 암흑(暗黑)되고 人類는 멸망하며 사람이 능히 지키면 착한 사람이 되고 못 지키면 금수(禽獸)에 불과할 것이니 가히 두렵지 아니하겠는가. 이제 하늘벼리 끈이 풀려 난잡한 말을 다투어 울린 자는 권술(權術)이요 공이(功利)며 또 따라서 요망한 말로 고동(皷動)한 것은 괴기(恠奇)한 것인데 바람을 쫓아 쓰러지듯 물이 아래로 쏟아지듯 하여 이른바 孝悌忠信禮義廉耻 등이 쓸 곳이 없으니 통탄한들 어찌하리오. 일찍 보통사람 자손 되기는 쉬워도 이름난 사람 자손 되기는 어렵다 들었는데 이제 여러 종씨는 이미 명조의 후예가 되었으니 더욱 어려운 책임을 잠깐이라도 잊지 말고 항상 先祖의 충의를 명념하고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가하다는 말을 몸가짐 요체(要諦)로 삼아 貧賤해도 옮기지 않고 威武에도 굽히지 아니하면 거이 名人의 後孫으로서 부끄러움이 없을 것이니 힘쓸진저. 歲在壬寅五月上瀚 傍裔 敏植 謹書
 
1. 문헌 목록 〉6. 6世 〉44. <부정공>백운재동재신성기(白雲齋東齋新成記)
1. 문헌 목록 〉6. 6世 〉46. 이로재기(履露齋記)